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기사코멘트
- SQL행열
- 빅분기실기
- ADSP
- SQL특정열중복
- 빅데이터분석기사
- 빅데이터분석기사공부방법
- SQL파싱순서
- 디플레이션
- sql주석
- 국제금융위기
- SQL단축키
- SQL피봇
- 빅데이터분석기사실기
- 금융위기
- SQL행열변환
- sql단축키모음
- 빅분기
- 경제기사코멘트
- 경제기사
- python정렬
- dataq
- SQL순서
- SQLPIVOT
- SQL
- 금융공부
- SQL중복제거
- 데이터분석
- cumcount
- SQL문법
- Today
- Total
은쥬라기월드
경제기사 코멘트03 본문
출처 :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277&aid=0004941848
코로나19 장기화·가상화폐 주춤에
6월 들어 빠졌던 금통장 회복세 보여
코로나19 장기화와 가상화폐 급락으로 금 관련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기존 소득만으로는 감당 못할 수준으로 치솟은 집값과 변동성이 큰 주식과 코인에 지친 20~30대 MZ세대들이 안전자산인 금으로 몰리고 있어, 당분간 금의 인기가 계속 될 전망이다.
22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KB국민·신한·우리은행의 금 통장 잔액은 6888억원을 기록했다. 전월(6613억원)보다 275억원 늘어난 규모다. 금 통장 잔액은 지난 1월 6327억원에서 2월 6219억원으로 주춤한 이후 5월(7082억원)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 6월 미국 연방준비은행(Fed)이 2023년까지 두차례 금리 인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발표하면서 금 통장 잔액도 6월(6613억원)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통상 미국 금리가 높아지면 달러가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금 가격의 인기가 떨어진다.
하지만 이달 들어 금값이 회복하면서 금 통장의 인기도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6월30일 3.75g당 27만8000원을 기록했던 금 가격은, 지난 20일 29만500원으로 상승했다. 금 값은 가격에 민감한 골드바 판매에도 영향을 줬다. KB국민·하나·우리·NH농협은행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7월 골드바 판매량은 65.5㎏으로 나타났다. 5월 89㎏으로 4월(105.1㎏)보다 대폭 줄어든 골드바 판매량은 가격이 낮았던 6월 145.9㎏이 팔리며 판매량이 급증했다.
이처럼 안전자산인 금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델타 바이러스가 유행하면서 경기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최근 각광을 받아온 가상화폐가 두달 새 큰 폭으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벼락거지는 면해야 한다’며 광풍을 불러왔던 가상화폐는 최근 두달 새 대부분 종목의 가격이 50% 가까이 폭락했다. 국내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따르면 지난 3개월 간 가격이 상승한 코인은 102개 중 단 1개에 불과했다. 주식시장의 경우 연일 고점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상태다.
금 통장은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 간접투자 상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본인 계좌에 예금을 넣어 놓으면 국제 금 시세에 따라 잔액이 자동으로 움직인다. 소액으로 금 투자가 가능하고 원할 때 언제든 환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거래 수수료도 2% 안팎으로 골드바를 사는 것보다 저렴하다. 이 때문에 거래 수수료와 15.4%의 배당소득세에도 인기가 꾸준하다.
이에 MZ세대를 중심으로 금 투자가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좋은 투자처로 주목하기 시작했다. 변동성이 지나치게 큰 가상화폐와 연일 고점을 갱신하고 있는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부담감에 ‘안전자산’인 금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실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KRX(한국거래소) 금 시장’ 거래를 위해 증권사에 일반상품계좌를 개설한 개인투자자의 51.8%가 2030세대로 나타났다. MZ세대가 금 투자에 적극적으로 뛰어들며 시장 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일평균 거래대금은 82억6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3.8% 증가했다. 일평균 거래량 역시 126.2kg으로 같은 기간 19.4% 늘었다.
MZ세대가 금 투자에 주목하는 이유는 ‘낮은 거래비용’ 때문이다. KRX 금 시장은 매매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이 없고 장내거래에 대해서도 부가가치세가 면제된다. 거래수수료도 일반 투자상품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로 안전자산 중요성이 부각되며 금이 각광받고 있다"며 "젊은 투자자의 시장 참여 확대로 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았다"고 했다.
기자 프로필
성기호, 김진호 kihoyeyo@asiae.co.kr, rplkim@asiae.co.kr |
코멘트
6월 이전까지 금 통장 잔액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였다. 6월 미국의 금리 인상 계획이 발표되면서 금리가 올라가면 달러가치가 올라가 금의 인기가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금의 인기는 다시금 올라가고 있다.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로 앞으로의 경제 성장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여 금의 인기는 꾸준히 올라가는 것이다. 변동폭이 큰 주식, 코인시장에서 피로함을 느낀 MZ세대들이 경제 성장 가능성을 판단하여 안전자산인 금을 선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수업에서 강사님의 금 거래 이야기를 해주셨다. 금융 공부를 처음 하고 있고, 다른 상식이 많이 부족해서 금이 투자상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강사님의 이야기를 듣고 또 이런 새로운 기사를 접하면서 안전자산에 대해 조금 더 깊게 알게 되었다. 앞으로도 안전자산 금의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거래의 편리성을 홍보하고, 낮은 거래수수료를 내세우는 증권사가 젊은 투자자를 확보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Finance(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일기 3화 (0) | 2021.07.27 |
---|---|
경제기사 코멘트04 (0) | 2021.07.22 |
금융 일기 2화 (0) | 2021.07.21 |
경제기사 코멘트02 (0) | 2021.07.13 |
경제기사 코멘트01 (0) | 2021.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