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ql주석
- SQL순서
- 기사코멘트
- SQL문법
- SQL단축키
- cumcount
- 금융공부
- SQL피봇
- SQL행열
- 빅분기
- ADSP
- SQL행열변환
- python정렬
- 금융위기
- 경제기사
- 디플레이션
- SQL중복제거
- 빅분기실기
- SQL파싱순서
- SQL
- 빅데이터분석기사
- SQLPIVOT
- 국제금융위기
- 데이터분석
- 경제기사코멘트
- dataq
- 빅데이터분석기사실기
- SQL특정열중복
- sql단축키모음
- 빅데이터분석기사공부방법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물가 (1)
은쥬라기월드

금융사관학교 수업에서 내가 이해한 내용과 만능 사전 위키백과를 통해서 정리하는 금융 일기! 강의가 5주이기 때문에 금융 일기도 5화가 마지막화! 금리와 이자율? 금리 = 이자율 금리와 이자율은 완전히 같은 의미이다. 전설이 레전드와 같은 말인 것처럼! 이자율이 낮을수록 돈을 빌리고 싶어 진다. 곧 이 말은 금리가 내려가면 돈이 많이 풀리게 되고 통화량(사용 가능한 지폐량)이 올라간다. 통화량과 유사한 말로 유동성이라고 있는데 이는 현금화 시킬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현금이 많이 풀리니까 그만큼 현금가치는 감소하고, 현금에 비해 실물가치는 상대적으로 증가한다. 여기서 실물가치는 뉴스에도 많이 나오고 나도 알고 있는 "물가"를 의미한다. 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상대적으로 돈으로 사는 재화..
Finance(금융)
2021. 7. 12.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