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빅데이터분석기사실기
- SQL문법
- SQL
- SQL피봇
- SQL행열
- cumcount
- 디플레이션
- 금융위기
- 빅데이터분석기사공부방법
- SQL파싱순서
- 금융공부
- ADSP
- SQL단축키
- 기사코멘트
- dataq
- sql주석
- 빅분기실기
- 빅분기
- 데이터분석
- SQL행열변환
- 국제금융위기
- 빅데이터분석기사
- SQL특정열중복
- python정렬
- SQL중복제거
- SQL순서
- sql단축키모음
- 경제기사코멘트
- 경제기사
- SQLPIVOT
Archives
- Today
- Total
은쥬라기월드
경제기사 코멘트10 본문
원문 : 예금이자 오르자 은행에 돈 몰린다…정기예금 이틀새 1.6조 급증 (naver.com)
예금이자 오르자 은행에 돈 몰린다…정기예금 이틀새 1.6조 급증
(서울=뉴스1) 국종환 기자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 예금금리도 줄줄이 오르면서 시중자금이 다시 은행으로 몰려드는 모습이다. 주요 4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기준금리 인상 후
n.news.naver.com
코멘트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년만에 올렸다. 금리가 증가하면서 통화량, 유동성이 하락할 것이고 이로인한 현금가치가 상승하면서 부동산, 금, 주식 등과 같은 실물자산의 하락이 예상된다. 실물자산의 부동산은 현재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앞으로 부동산의 하락이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정권 교체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쉽게 하락하진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단기적으로는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부동산의 가치 변화가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기준금리 상승으로 은행에 돈이 몰리게 되어 예금통화량은 증가한다. 기준금리에 변화에 따라 예, 적금 금리도 증가했기 때문이다. 경제 공부를 한다고 기사를 찾아보고 있지만 경제 흐름에 맞춰 투자하고, 흐름에 따라가기에는 아직도 많이 부족함을 느낀다.
'Finance(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기사 코멘트09 (1) | 2021.08.25 |
---|---|
금융 일기 4 (0) | 2021.08.02 |
경제기사 코멘트08 (0) | 2021.08.02 |
경제기사 코멘트07 (0) | 2021.08.02 |
경제기사 코멘트06 (0) | 2021.07.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