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분석기사 2회 실기 후기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합격 후 실기 준비와 접수를 위해 홈페이지에 들어갔다!
빅데이터분석기사는 ADSP와 달리 응시자격이 존재하는데, 기사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4년제 졸업자 또는 졸업예정자 등 다양한 응시자격이 있다. 자세한 응시자격은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https://www.dataq.or.kr/www/board/view.do
합격자는 해당 기간(21.05.10 ~ 21.05.20)에 응시자격 증비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제대로 제출했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문의를 남기는 것이 좋다! 뭐든지 확인하는 습관이 있는 나는 문의를 남겨 제출 확인을 받았다.
서류제출을 완료한 후 실기 시험에 대해 알아보고 공부 방법을 생각해보기 위해 공지사항에 올라온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아래 사진은 21년 4월 19일에 올라온 공지로, 실기 시험에 대해 자세히 나와있다.
단답형 10문제, 작업형은 1유형 3개와 2 유형 1개 총 4개로 전체 14개 문항으로 시간은 180분으로 굉장히 세 시간으로 굉장히 긴 시간이다,,,,,
공지에 올라온 예시문제를 풀어보면서 약간 이해가 되는 시간이기도 했다. 마지막 제2유형은 예측 문제로 코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욕심 있게 한다면 코드 길이가 많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작업형을 대비하면서 정리한 내용은 본인의 깃허브에 올라와있다. 참고하시면 좋을 듯!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후기
실기는 서울에서만 고사장이 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대부분 교육학원이라 고사장 시설은 깨끗하고 좋을 것이다. 본인은 서울 강남 고사장에서 시험을 봤다. 첫 시행이어서 그런지 감독관들도 응시자들도 왕왕,,한 느낌이 들었다.
시험 중에 작업형 2에 대한 추가 설명이 실시간으로 올라왔는데 이걸 확인하지 못한 사람은 아마도,,, 큰 리스크가 될 듯하다. 혹시 다음 회차 시험을 보는 분들은 실시간 알림을 꼭 확인하시길!
실기 시험을 짧게 설명하면
시험은 구름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고, 단답형, 작업형 모두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시행된다. 레퍼런스 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코드를 손에 익혀두고 가야 한다. "처음엔 이 정도야 어렵지 않지~"라고 생각했다가 작업형 2는 모듈을 모두 외우고 있어야 하는 게 약간 이해가 되지 않았다... Why,,,, 다 암기해야,,, 하는 거죠?
단답형은 수제비-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내용이 많이 포함되었고,
작업형은 예시문제와 유사하게 나왔다.
작업형 1은 pandas를 잘 사용하고 df를 요리저리 잘 처리하느냐? 이런 의도로 낸 문제가 많은 느낌이었고
작업형 2는 예시문제만 연습해도 풀 수 있을 정도에 난이도였다.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의 합격을 위해!